형사사건

불기소처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법무법인 정음 2024. 6. 12. 08:30

불기소 처분은 검사가 특정 사건에 대해 기소를 하지 않기로 정한 처분을 의미합니다. 이는 기소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내려지며, 불기소 처분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아래에서 각 불기소 처분의 종류와 그 의미를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
1. 공소권없음

  • 의미 :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형식적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
  • 예시 : 공소시효가 완성된 경우, 피의자가 사망한 경우

2. 죄가안됨

  • 의미 : 위법성 또는 책임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
  • 예시 : 정당방위, 형사미성년자인 경우

3. 혐의없음

  • 의미 : 범죄가 아니거나 범죄를 인정할 증거가 부족한 경우
  • 예시 : 혐의를 인정할 증거가 불충분한 경우

4. 기소유예

  • 의미: 혐의가 인정되어 공소제기는 가능하지만, 사안이 경미하거나 기소하기에 부적절하여 기소를 하지 않는 경우
  • 특징 : 조건을 부과하는 조건부 기소유예도 있을 수 있습니다.

5. 각하

  • 의미 : 고소, 고발 사건에서 고소나 고발 자체에 흠결이 있는 경우
  • 예시 : 고소장에 기본적인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

6. 기소중지

  • 의미 : 피의자의 소재를 알 수 없거나 인적사항을 알 수 없을 때
  • 특징 : 중지사유가 일시적일 경우, 시한부 기소중지 처분을 내립니다.

7. 참고인 중지

  • 의미 : 참고인의 소재를 알 수 없는 경우
  • 예시 : 중요한 참고인을 찾을 수 없거나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

8. 공소보류

  • 의미 : 국가보안법위반 사건에 대해 공소를 보류하는 경우
  • 특징 :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 공소를 일시적으로 보류합니다.

불기소 처분의 의미와 주의점

불기소 처분은 검사가 사건을 기소하지 않기로 한 결정으로, 이는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내려질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처분은 범죄 성립 여부, 증거의 충분성, 피의자 및 참고인의 소재 파악 여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. 불기소 처분에 대해 이의가 있는 경우, 고소인이나 피해자는 항고나 재정신청 등의 절차를 통해 다시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.

불기소 처분의 이유와 세부사항을 잘 이해하고 필요시 법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https://youtube.com/shorts/DpMdQNikTEU